“예전엔 잘 듣던 항생제가, 왜 이번엔 듣질 않죠?”
감기나 방광염으로 병원에서 받은 항생제, 분명 똑같은 약인데 효과가 없다면? 혹시 내가 ‘내성’이 생긴 걸까요? 이 글에서는 항생제 내성의 원인과 해결 방법, 그리고 자주 복용하면 왜 문제가 생기는지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예전엔 듣던 항생제, 왜 이번엔 효과가 없을까?
실제로 병원에서 흔히 듣는 말 중 하나가 이거예요.
“선생님, 저번에도 이 약 드셨잖아요. 근데 이번엔 좀 다를 수 있어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생겼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죠.
항생제는 세균을 죽이거나 증식을 막는 약인데, 세균도 나름 생존 본능이 있어요.
자주 같은 종류의 약에 노출되면, 스스로 약을 회피하거나 무력화하는 방식으로 진화해버립니다.
한 마디로, 약에 적응해버린 거죠.
그래서 같은 항생제를 계속 쓰면, 내성이 생겨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내성이 생기면 기존 항생제가 더 이상 효과를 발휘하지 못합니다.
항생제 자주 복용하면 정말 내성이 생길까?
정답은 “그렇다”입니다.
항생제를 자주 먹는다고 모두 내성이 생기진 않아요.
하지만 다음과 같은 상황이 반복된다면 위험합니다.
- 감기인데도 항생제를 요구하거나 복용
- 의사가 처방한 날짜보다 짧게 복용
- 증상 없다고 중간에 임의로 복용 중단
- 주변 사람 항생제를 자기 마음대로 복용
이러한 습관이 쌓이면 세균이 항생제에 익숙해지고, 결국 효과가 떨어지게 됩니다.
특히 광범위 항생제는 많은 세균을 한꺼번에 공격하기 때문에 내성 유발 가능성도 큽니다.
바이러스성 질환(감기, 독감 등)에는 애초에 항생제가 효과가 없습니다. 괜히 먹으면 내성만 생깁니다.
내성이 생기면 다른 항생제로 바꾸면 괜찮을까?
많은 분들이 “그럼 다른 항생제로 바꾸면 되는 거 아닌가요?”라고 묻습니다.
부분적으로는 맞는 말이지만, 무작정 대체가 가능하진 않습니다.
왜냐하면…
- 세균 종류마다 듣는 항생제가 다르며
- 과거 병력, 복용 이력, 내성 여부에 따라
- 의사가 신중하게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항생제 감수성 검사(배양검사)를 통해 세균이 어떤 항생제에 약한지를 알아보는 과정을 거치기도 합니다. 특히 만성 질환자나 면역이 약한 경우엔 더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죠.
항생제 바꾸는 건 의사 판단이 필요! 임의 복용은 절대 금물입니다.
실생활에서 항생제 내성 피하는 3가지 팁
- 항생제는 반드시 처방대로 끝까지 복용!
증상이 사라져도 세균이 완전히 죽지 않았을 수 있어요. - 감기엔 항생제 NO!
감기는 바이러스 질환이라 항생제로는 해결되지 않아요. - 가족이나 친구 약을 함께 먹지 말기
내 몸의 세균과 다른 사람의 세균은 다르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항생제 내성, 이렇게 생각하면 편해요
항생제는 ‘비상시 쓰는 무기’예요.
자주, 아무 때나 사용하면 무기가 무뎌지죠.
그래서 정말 필요할 때만, 정확한 용법대로 사용하는 것이 미래의 나를 위한 건강 습관입니다.
세 줄 요약!
- 항생제 내성이 생기면 기존 약이 듣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무분별한 복용은 내성을 키우는 지름길입니다.
- 필요할 때만, 정확히 복용해야 내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항생제 내성은 얼마나 자주 생기나요?
A. 자주 복용하거나 올바르지 않게 사용할 경우 수개월~수년 사이에 내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Q2. 내성 생기면 완전히 항생제 효과가 없어지나요?
A. 특정 세균에만 내성이 생긴 것이므로 다른 항생제로 대체가 가능합니다. 단, 검사가 필요합니다.
Q3. 아이들도 항생제 내성 생기나요?
A. 네, 특히 어린아이들은 반복 감염이 많기 때문에 내성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확한 복용이 중요합니다.
Q4. 항생제 내성 검사도 받을 수 있나요?
A. 병원에서 배양검사나 감수성 검사를 통해 세균의 내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Q5. 프로바이오틱스랑 같이 먹으면 도움이 되나요?
A. 항생제로 장내 유익균도 파괴되므로, 프로바이오틱스 복용은 장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단, 동시에 먹기보단 2시간 이상 간격을 두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