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예방접종 후 열날 때, 많은 부모님이 걱정하시지만 사실 흔한 일이기도 한데요.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막막하셨다면, 이 글을 끝까지 읽어보세요. 해열제 타이밍부터 병원에 가야 할 기준까지 알려드릴게요!

예방접종 후 열 나는 게 ‘정상’일 수 있어요
예방접종 후 발열은 대부분 정상적인 면역 반응인데요.
백신 속 항원이 체내 면역계를 자극하면서 열이 나게 돼요.
특히 생후 2개월 후 신생아는 폐렴구군, 로타바이러스, DTP와 같이 다양한 백신을 접종하게 되는데, 이때 열이 나는 경우가 많답니다.
예방접종 후 열 발생 시기 | 평균 체온 상승 폭 | 지속 시간 |
---|---|---|
접종 후 6~12시간 이내 | 37.5~38.5℃ | 보통 1~2일 |
열이 난다고 무조건 해열제를 먹이지 마세요. 타이밍이 가장 중요해요!
몇 도 이상이면 해열제를 먹여야 할까요?
신생아 기준으로 항문 체온이 38.0도 이상일 경우 발열로 판단해요.
겨드랑이 체온은 항문보다 0.5도 낮게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측정하는 위치도 중요하죠.
✔해열제 복용 기준
겨드랑이 체온 기준 37.8~38.0도 이상일 때 고려
아기가 평소보다 유난히 보채거나, 수유를 거부하면 더 신속히 대응해야 합니다
특히 해열제는 열을 무조건 내리기보다, 아이의 컨디션이 악화되는 걸 막아주는 도구라고 볼 수 있어요.
해열제를 먹여도 열이 안 내려간다면?
해열제 복용 후에도 열이 38도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럴 땐 아래 대처법을 참고해보세요.
✅ 해열제 복용 후 최소 30~60분은 기다려 보기
✅ 수분 공급 충분히 하기 (모유/분유 자주 먹이기)
✅ 얇은 옷으로 체온 조절
✅ 미온수 손수건으로 이마, 겨드랑이, 사타구니 닦아주기
🚨 아래 증상이 동반되면 즉시 병원 방문
- 생후 3개월 미만인데 38도 이상 발열
- 3일 이상 열 지속
- 호흡이 거칠거나, 기운 없이 축 처짐
- 경련, 의식 저하
아기 열 내리는 법, 해열제 외 다른 방법은?
- 실내 온도는 21~24도 유지
- 습도는 50~60% 조절
- 옷은 땀이 날 정도로 겹겹이 입히지 말 것
- 냉찜질은 피하고, 미온수로 닦아주기
- 자주 안아주고, 안정된 수면 환경 제공해주기
해열제 복용 시 주의할 점
소아용 해열제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이 일반적인데요.
이부프로펜은 생후 6개월 이상부터 가능하고, 절대로 임의로 판단해서 먹이시면 안돼요.
의사의 처방 혹은 체중 기준 용량을 꼭 확인하셔야 한답니다.
또한, 다른 약과 함께 먹을 경우 전문가 상담이 필수예요.
연령 | 몸무게(kg) | 아세트아미노펜으로서 1회 권장용량 |
4~6개월 | 7~7.9kg | 80mg |
7~23개월 | 8~11.9kg | 120mg |
만2~3세 | 12~15.9kg | 160mg |
만4~6세 | 16~22.9kg | 240mg |
세 줄 요약!
- 신생아 예방접종 후 열은 대부분 정상적인 면역 반응이에요.
- 38도 이상 체온이 유지되거나, 아기 컨디션이 좋지 않다면 해열제 복용을 고려하세요.
- 3일 이상 열이 지속되거나, 경련 등 이상 반응이 있을 땐 바로 병원을 방문하세요.